본문 바로가기
대입정보

2025년 고 1학년에게 적용하는 입시제도 변화 내신 5등급 외 5가지

by Rhiam 2025. 3. 6.
반응형

2025년 현 고 1학년들에게 적용하는 입시제도 내신 5등급 외에 수능 선택과목 변화, 학생생활기록부 입력 내용 변화에 따른 세특이 2배가 되는 점, 창의체험 활동 기록 변화, 개인세부능력특기사항 기록란이 없어지는 등 5가지의 변화가 있습니다. 변화와 점검 사항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2025년 현 고 1의 입시 변화

2025년 현 고 1은 2028학년도 대입제도 변경 첫해를 맞는 학생들입니다. 수능은 제도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지금까지 발표된 내용을 토대로 변화된 입시를 정리해 봤습니다. 

 


(1) 내신이 9등급제에서 5등급제로 변화
(2) 수능 선택과목 변경
학생부 기록 변경 
(3) 창의적 체험활동 
(4) 교과 세특 학년에서 학기제로 변경
(5) 수업량 유연화 항목 제외

 

(1) 내신 5등급제

  기존 (누적) 변경
등급 9등급 5등급
상위 1등급 4%
2등급 7% (11%)
10% (10%)
중위 3등급 12% (23%)
4등급 17% (40%)
24% (34%)
중하위 5등급 20% (60%) 32% (66%)
차하위 6등급 17% (77%)
7등급 12% (89%)
24% (90%)
하위 8등급 7% (96%)
9등급 4% (100%)
10% (100%)

 

변경 후 시사점


핵심 : 등급간 변별력 낮아짐
1등급 ~ 1.5등급 밖의 등급은 수시 교과가 어렵다는 의미
등급간 격차가 줄어드는 경우 특목고, 광역자사고 학생 유리

 

(2) 수능 선택과목 변경

  기존 (누적) 변경
국어 언어와 매체
화법과 작문
통합
(화법과 언어, 독서와 작문, 문학)
수학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
통합
(대수, 미적분1, 확률과 통계)
영어 절대평가 공통
한국사 절대평가 한국사
사탐 사회 문화, 생활 윤리, 윤리와 사상, 
법과 사회, 한국 지리, 세계 지리, 
경제, 동아시아사, 세계사
통합사회
과탐 물리 I, II, 화학 I, II,
생물 I, II, 지구과학 I, II 
통합과학

 


핵심 : 변별력 기준 (미발표, 아직 모름)
문항을 많게 해서 변별력을 높이는 경우 : 공부해야 할 과목 늘어남
문항 변화가 없이 변별력을 가지는 경우 : 과목별 난이도 높아짐
변별력 없는 경우 : 절대 평가 논의 등

 

(3) 창의 체험활동

변경 전 변경 후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자율 자치활동 / 동아리활동 / 진로활동
봉사 활동 내용 추가 (250자, 어떤 봉사인지 기재)
창의적 체험활동 자율
동아리 활동 자율 자치

 

창의적 체험활동 자율 지치 활동 500자
동아리활동 500자
진로활동 500자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500자
교과세부능력특기사항 과목당 500자
수상 대입반영 없음
동아리활동 500자

 


교과세부능력특기사항 분량 변화 
학년 당 500자 -> 학기 당 500자

창의적 체험활동란 축소

핵심 : 기록량이 늘어 정성적 평가 요소 증가

 

 

(4) 1학년 과목 학기제로 운영

교과세부틍력특기사항을 과목별로 학기마다 기록합니다. 과목의 수행평가 활동명이 대입에 활동된다는 의미입니다. 수행평가의 중요성이 높아집니다.

 

 

(5) 수업량 유연화 사라지고 세특 기록도 없어짐

수업량 유연화는 1 단위 수업량(17회의 수업)을 수업의 교과목 수업 외 타 교과목과의 융합형 프로젝트 수업, 보충 수업, 동아리 연계 수업, 과제 탐구 수업 등 다양하게 학교 자율적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가 현재의 고1부터는 사라집니다. 따라서 수업량 유연화 주간 활동 기록하던 개인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록이 없어집니다.

 

요약

2025년 고1의 경우 상위권 대학 진학을 위해 과목별 1등급을 받는 것이 중요해집니다. 아울러 교과세부능력특기사항이 과목당 500자, 학기마다 기록하는 형태로 바뀜에 따라 교과 그리고 수행평가에 집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변화는 기회입니다. 잘 준비해서 좋은 결과 있기를 기원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