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 광고는 버스, 지하철, 라디오 방송에서 많이 접할 수 있습니다. 지하철 광고보다 효과 좋은 곳 Top 5 형태로 만들어 봤습니다. 이 방식인 장시간 해야 한다는 점을 유념하셔야 합니다. 아래의 내용은 학원가에서 느낀 경험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대학교 광고
대학교 광고를 많이 볼 수 있는 곳은 지하철, 건물 옥상, 버스, 라디오 방송 등입니다. 이 방식은 고등학교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곳이니 노출은 적절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광고를 보고 그 학교에 지원할 마음이 생길지는 모르겠습니다. 오히려 광고가 학교에 대한 신뢰를 낮추는 것이 아닐지도 생각해 봐야 합니다.
즉 광고를 학교는 무엇인가 부족한 것이 있는 학교다라는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억은 3개까지
사람의 기억은 3개 정도가 한계입니다. 친했던 친구의 이름을 떠올리기 힘들 때가 있는 것도 사람의 기억입니다. 얼굴은 기억이 나는데 문자화된 이름이 단기 기억 저장소에 없을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마케팅에서는 단기 기억에서는 3개 이상이 나오기 힘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많이 사용하는 것이 1등 마케팅입니다.
1등 마케팅
포지셔닝 기법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이 방식은 특정 분야 1등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전국 1등이면 제일 좋습니다만 전국 1등이 힘드니 경기도 1등, 경기도 수원시 1등, 수원시 여학교 1등 등 이런 식으로 1등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이런 방식을 사용하면 기억하기 좋습니다만 1등에 대한 근거 논란으로 소송에 휘말리기도 합니다.
1등 마케팅과 Top3 마케팅
1등과 함께 많이 사용하는 것이 Top 3, Top 5, Top 10 등의 방식입니다. 1등 마케팅은 포지션에 따라 없어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령 '강원도 무슨군 1등 대학교' 이러면 오히려 셀프 디스 하는 느낌이 듭니다.
1등 마케팅 | Top 3 마케팅 |
영역별 1등 강조 | 특정 분야 Top3 강조 |
영역별 1등이 기억하기는 좋으나 웃음거리가 될 수 있음 |
공정성이 있을 때 신뢰 Top 3, Top 5, Top 10 등으로 강조 |
학교보다는 학부나 학과
학교는 학과의 총합입니다. 학생들에게 강조하는 분야를 먼저 키운 후에 다른 과로 넓히는 방식이 더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면 일러스트 전공이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이 되면, 국내 일러스트 & 애니메이션 Top 10 대학을 나열하는 방식입니다. 그 학과와 관련한 학과의 학생들이 자부심을 느끼게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효과 좋은 곳
재수학원이나 입시 상담하는 곳에서는 차선책이 있어야 합니다. 만일 안됐을 때 무작정 '재수', '삼수', '사수' 등을 권할 수 없습니다. 최악의 상황에 맞는 관련된 학과 리스트가 있어야 합니다. 그 리스트는 광고 같지 않은 광고 등으로 나오는 것이 좋습니다.
사례 의상학과, 패션디자인과
의상학과의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2년제 의상학과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많지 않습니다. 서올 소재 4년제 의상학과를 희망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중에서 최고의 대학은 역시 서울대와 연대입니다.
패션디자인 순위
Top Tier | 서울대 의류학과, 연세대 의류환경학과 |
Second Tier | 홍대 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 이화여대 섬유패션 학부, 국민대 의상디자인, 성균관대, 한양대 의류학과, 경희대 의상학과, 동덕여대 |
Third Tier 서울 | 한양여대, 명지전문, 배화여대, 숭의여대, 인하공대, 한국폴리택, |
Third Tier 수도권 | 경인여대, 인하공, 동서울대, 부천대, 수원여대, 신구대, 연성대, 오산대, 유한대, 장안대 |
Third Tier 지역 거점 | 대경대, 계명문화대, 강동대, 충청대, 대덕대, 대전보건대, 경남정보대, 동주대, 부산경상대 |
위와 같은 순위에 대해서는 이견이 적으리라 봅니다. 하지만 이런 형태로 분류해 보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학과 분리
구분 | 섬유학과 | 패션 디자인 |
Top Tier | 서울대 의류학과, 연세대 의류환경학과 | 홍대 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 국민대 의상디자인 |
Second Tier | 이화여대 섬유패션 학부, 한양대 의류학과, 경희대 의상학과, 동덕여대 | 성균관대 |
2년제 분리
구분 | 서울 / 수도권 | 여대 | 이외 |
Third Tier | 인하공대, 명지전문, 한국폴리택 | 한양여대, 배화여대, 숭의여대 | 계명문화대, 충청대, 대덕대, 대전보건대, 경부산경상대 |
Second Tier | 경인여대, 인하공, 동서울대, 부천대, 수원여대, 신구대, 연성대, 오산대, 유한대, 장안대 | 경인여대, 수원여대 | 대경대, 강동대, 남정보대, 동주대 |
* Secnd Tier는 단순히 지역으로 구분한 겁니다. 해당 학교라면 해당 학교의 강점을 살린 다른 형태의 Top Tier 군을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텍스타일, 패스트패션 등 전문적이면서 실용적인 구분을 넣는 방식입니다.
의견
이보다 더 잘게 자르면 Top3, Top5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특정 분야의 최고의 학과, 학부가 있으면 다른 학과도 덩달아 힘을 받습니다. 학생들이 모이는 포인트가 확실해야 관심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의 대학은 인서울 대학과 몇몇 대학 외 의미 없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특별한 길을 가는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그 무엇이 확실해야 학원이나 주변에서 학생들에게 권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효과 좋은 곳 Top 3
특정 키워드로 검색해서 나오는 Top 3, Top 5, Top 10을 여러 매체에 장기간 노출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주변에서 소개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네이버 블로그 체험글 (학교 자부심이 담긴 체험)
국내 또는 해외 언론의 기사
해당 학교 출신의 인풀루언서 모델
'대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시정보 2026 간호대학 전년과 동일한 정원 24학년도 대비 1000명 증원 (1) | 2025.03.01 |
---|---|
교육 고입 대입 관련 정부 운영 사이트, 사교육 전문가 활용 중인 페이지 (0) | 2025.02.26 |
EBS 영어 지문 및 평가원 모의고사 기출이 중요한 이유, 영어식 사고와 영어 문장 (0) | 2025.01.23 |
송도 재수는 인천 재수 학원과 부천 청솔 부천 러셀 메가 아니면 기숙? (0) | 2025.01.22 |
2028 내신 9등급에서 5등급으로 변화할 경우 경쟁 논리 (0)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