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사는 학원에 비해 경험이 적어 학원에서 계획을 이야기할 때 무슨 의미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원에서 강사가 하던 학교의 수업 중 한 두 곳을 다른 강사에게 준다고 할 때 생각해 볼 영향입니다.
대치동 학원
대치동 학원은 사례로 든 예로 학교 이름과 학원 이름을 제외한 부분은 모두 사실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최근 약 5년 전후로 대치동 단과학원은 특정 고교 내신이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대치동 인근은 휘문고반, 중대부고, 단대부고, 진선여고, 정신여고 등 강남 8 학군 고교와 자사고 등이 많습니다.
대치동 A 학원 출강중인 강사
대치동 A 학원은 진선여고, 정신여고, 경기도 외에 반포의 세화여고, 개포동의 경기여고, 강북의 대원외고 등의 여러 학원 내신반을 운영 중인 유명학원입니다. A 학원에서 생명과학을 강의하던 B강사는 세화여고, 경기여고반, 대원외고반 그리고 수능반 등 3개 반의 수업을 하고 있었고 주 3회 출강을 하던 중이었습니다. (일부는 사실, 일부는 가정입니다.)
학원 측의 요청 집중화
학원 측이라 하면 원장, 운영실장 등 시간 조각권, 편성권을 가진 이를 뜻합니다. 학원층에서 B강사에게 3개 반 중 하나를 후배에게 줘도 되겠냐고 점잖게 물어 올 때 B강사는 바로 들어주었습니다. (그럴 수밖에 없는 입장이기도 하고 영향력이 없는 강사는 대체적으로 수용하는 입장입니다.)
집중화 후
새로운 강사를 영입한다는 의미는 새로운 강사에게 집중하고 강사를 교체한다는 의미를 포함합니다. 그 강사가 아니면 안되는 과목이나 학교의 과목은 새로운 강사를 영입하면서 그 반을 제공합니다. 일부 수익을 보장해 주는 목적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학원 전체적인 입장에서는 전문화하고 실력 있는 많은 강사들이 모으는 것이 좋은 방향입니다.
B강사에게 미치는 영향
문제는 B강사의 입장에서는 좋은 마음으로 시작했지만 학생이 점차 줄어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집중화한다고 다른 고교의 학생이 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얼마 후 그 학원의 수강생이 줄어 다른 곳으로 이적합니다.
고교반 선택
강사의 입장에서 특정 고교 수업을 개설하면 해당 고교의 교과서 그리고 몇년치 기출문제와 수능 지식을 연계해서 수업을 만듭니다. 3개의 학교 수업을 만들어 아래와 같이 가고교 20명, 나 고교 12명, 다 고교 8명 등의 학생이 있을 때 어떻게 선택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의견입니다.
가 고교 | 나 고교 | 다 고교 |
수강생 20명 | 12명 | 8명 |
학원의 요청 1순위
20명인 가고교반은 다른 강사에게 줘도 되겠냐는 제안이 학원에서는 최상의 카드입니다. 새로운 강사에게 맡겨서 더 안정화 시키고 기존 강사는 나 고교 다 고교에 집중해서 수강생 수늘려가면서 수업을 하라고 합니다. 그리고 기회가 되면 다른 고교의 학생도 주겠다는 의견을 줍니다. 강사가 거절하면 가고교 반을 10명씩 나누겠다고 제안하기도 합니다.
강사의 최선
강사는 지금 그대로 하는 것이 최고이고 다고교를 다른 강사에게 주는 것이 차선입니다. 여기서 만일 다 고교가 성적대 최상위인 특목고라면 이야기가 달라지지만 가장 많은 수업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이유는 고교의 학년당 학생 수가 300-400명 밖에 안되고 그 학생들의 10%가량이 수업을 듣는데 다음 해에는 바로 영향이 오기 때문입니다.
마무리
학원가는 쏠림현상이 강한 곳입니다. 20명일 경우 10명씩 사이좋게 나눠서 수업하게 되는 일은 처음에나 있습니다. 20명과 0명을 향해서 바뀌어 갈 뿐입니다. 그래서 강사들이 학원에서 치열하게 눈치싸움을 하는 이유기도 합니다. 2025년 신규 강의를 개설하는 강사들 그리고 기존 강사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학군학원 > 학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학재수학원 독재학원의 시작과 의미, 1등 독재학원 재수학원 이야기 (2) | 2025.01.27 |
---|---|
사설 모의고사 더프라임, 이투스, 종로 모의고사 특징 활용하는 법 (1) | 2024.12.26 |
수능 만점자 11명 그리고 표점 높은 학생이 나온 학교와 학원 (1) | 2024.12.05 |
의대 합격했다면, 11인치 보다 의사들이 많이 활용하는 ebook 12인치 추천 이유 (3) | 2024.12.03 |
전국 미분양 현황 및 고덕 국제 신도시 상가 투자 (0) | 2024.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