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입강사

서울대 출신의 과외 선생, 강사에게 배우기, 따로 배울 것은 공부보다 마인드

by Rhiam 2025. 3. 21.
반응형

잘 가르치는 사람은 따로 있습니다. 선생님이 알고 있는 것과 가르치는 것은 분명 다릅니다. 강의를 스킬로 생각하면 온라인 인강이 최고입니다. 반면 서울대 출신의 강사나 과외교사에게 배우는 것을 따로 있습니다. 그 부분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서울대 출신

지금은 의대, 한의대 성적이 서울대보다 높다고 합니다. 그래도 서울대라는 학벌은 최고의 학벌입니다. 의대를 나와 반도체나 첨단 A.I. 의 일은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서울대 출신들은 고등학교 때 공부를 잘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대부분 중학교 때도 공부를 잘했습니다. 중학교 때 잘한 것은 초등학교 때도 공부를 잘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물론 100%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학생은 성적이 좋았습니다.

 

서울대 재학생, 졸업생들에게 배울 것

초중고 때 최상위권 유지했던 그 무엇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위권 학생들은 한 단계만 더 올라가면 최상위 경쟁을 하는데 보통의 경우 경계선을 못 벗어납니다. 반대로 중상위권 학생들은 서울대 재학생이나 졸업생을 학원이 아니면 만나기 힘듭니다. 학생들도 많은데 많은 학생 중 한 명으로 만나야 합니다. 

서울대 재학생이나 갓졸업한 강사에게 배울 것은 현재의 학생과 큰 차이가 안 난다는 점을 느껴야 한다는 점입니다.

 

큰 차이가 안난다는 점

게임을 좋아하고 연예인을 좋아하는 학생 그대로의 모습은 배우는 학생이나 서울대생이나 같습니다. 여기서 얻어야 할 포인트는 '도전해 봄직하다'라는 자신감입니다. 먼저 도달한 사람이 있으면 해 볼만한다는 자신감을 얻는 것은 당연합니다. 이 정도가 되면 최상위권 경쟁에 진입하게 됩니다. 그런데 진입 후 경계선에 도달합니다.

참고로 서울대 출신의 강사들이 가장 많이 하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누구나 가능하다'

 

약간의 차이가 만드는 벽

약간의 차이가 큰 벽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 차이가 서울대와 아닌 대학으로 나뉜다는 것을 알게 될 때 큰 것을 얻게 됩니다. 재능과 노력 모두 갖춰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 목표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부족한 그 무엇이 뚜렷해질 때 그 부족한 것을 채워주는 강사를 찾을 수 있습니다. 대신 찾아줄 이가 있다면 온라인 EBS 등을 통해 무료로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이투스 정승제 강사를 비롯 유명 강사 중 EBS에 무료 강의를 제공하는 강사들도 많습니다.

 

 

중상위권 학생 최상위권 학생
조금만 더 하면 된다는 자신감 약간의 차이를 넘은 방법

 

 

시간대비 효율성

학생이 원하는 것은 가장 짧은 시간에 가장 빠르게 실력이 향상하는 것입니다. 빠른 시간에 실력(등수)이 향상하는 방법은 시험을 잘 보는 스킬을 익히거나 기초실력을 증진시키는 방법 두 가지입니다. 이 두가지는 서울대 재학생, 졸업생보다는 해당 분야에서 오랫동안 강의를 한 강사가 더 잘합니다. 그중에서 인강강사는 최고입니다. 오프라인 학원의 전문 강사도 잘 가르치나 학생과 강사와 간극은 좁혀지지 않아 현실성이 없습니다. 쉽게 온라인 강사의 강의는 훌륭하지만 방송에 나오는 연예인 비슷하게 느껴진다는 의미입니다.

 

배울 것은 마인드

시간대비 효율은 강의에서 찾으면 되고, 앞으로 나 아기 위해 익혀야 할 핵심은 서울대 재학생, 졸업생이 지니고 있는 공부나 학습에 대한 마인드입니다. 생활습관을 배워도 좋습니다. 노력으로 다져진 생활습관이기 때문입니다.

 

추천하는 좋은 강사

바닥권에서 성적을 올린 경험이 있는 서울대 재학생, 졸업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강사로, 부진을 노력으로 극복한 경험이 있는 강사입니다. 찾는 방법인 인기학과보다는 사범대, 문리대에 많습니다. 이유는 인기학과를 선호하는 천재급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학생과 가장 비슷한 경험을 지닌 과외교사, 강사가 과외 등을 통해 3개월 정도 밀착해서 봐주면 결과는 나옵니다. 3개월이 지나면 변화를 했던지, 아니면 가능성에 대한 결론이 나옵니다. 과외를 지속할지 학원 중심으로 바꿀지는 그때 결정하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