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입정보

대기업이 운영 중인 대학 연암대 중앙대 성균관대 울산대

by Lahhaha 2025. 1. 15.
반응형

국내 대기업이 운영 중인 대학들을 정리해 봤습니다. 대기업이 운영 중인 대학은 해당 기업에 도움이 되는 것은 분명합니다. 물론 전적인 지원은 아니지만 해당 대학 출신이 혜택 있는 해가 있기도 합니다. 재계 서열 순서에 따라 정리해 봤습니다.

 

대기업에서 운영 중인 대학

 

 

삼성그룹 성균관대

삼성그룹에서 운영 중인 대학은 성균관대로 1996년부터 삼성에서 운영에 관여하고 있습니다. 삼성계열사의 고졸 직원의 학위를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사내대학으로 활동하기도 합니다. 의과대학은 삼성의료원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LG 그룹 연암대, 연암공대

구인회 회장의 호를 딴 연암대는 충남 성환, 평택과 인접한 지역에 위치한 2년제 대학입니다. 원예와 축산 등이 유명하며 구인회 회장이 생전에 학교에서 관리하는 식물원에서 휴식 취했다고 합니다. 

연암공대는 경남 진주에 위치한 2년제, 3년제 대학으로 구인회 회장의 고향에 세워진 대학입니다. 취업이 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D현대 중공업 울산대

 

 

1970년 정주영 회장이 설립한 4년제 대학으로 울산대 의대는 서울 중앙병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HD현대의 계열사는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HD현대오일뱅크, HD현대일렉트릭, HD현대사이트솔루션, HD현대건설기계 등으로 현대자동차나 현대건설과는 계열이 다른 그룹입니다.

 

두산그룹 중앙대

1972년 서라벌예대 2011년 적십자간호대학과 합쳐진 중앙대는 2008년 두산그룹에서 인수하여 운영 중입니다. 

 

한진그룹 인하대 / 항공대

대한항공의 한진그룹은 인천의 인하대, 고양시의 항공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재능그룹 재능대 

교육기업으로 시작해서 현재 부동산 사업을 하고 있는 재능에서는 과거 인천의 대헌공업전문대를 인수하여 재능대로 명칭을 바꾸고 제물포와 송도에 2개의 캠퍼스를 운영 중입니다.

 

동아연필 우송대

라디오 광고에서 많이 듣는 우송대는 우송정보대학과, 우송공업대학, 중경산업대학교 등이 1996년에 우송산업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1999년에 다시 우송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대전의 대학입니다. 동아연필 전 회장이었던 김노원 회장이 설립한 대학교입니다.

 

유한양행의 유한대

민족기업인이자 독립운동가였던 유일한 박사가 1977년 설립한 대학으로 유한공전, 동양공전, 인하공전 등과 함께 인기가 많았던 2년제 대학입니다. 당시 대학교 진학률이 20~30% 밖에 안 됐을 시절 2년제 대학에서는 가장 인기가 많았던 곳 중 한 곳입니다.

 

두원의 두원공과대학

(주)두원, 두원공조, 두원냉기, 두원전자, 두원중공업 등의 중견기업에서 운영 중인 안성의 두원공과대학은 현재 안성과 파주에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경기 북부에는 대학이 많지 않아 인기가 많은 대학 중 한 곳입니다.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의 결과, 재단의 비리가 발견된 곳으로 2019년에 정원의 10%를 축소하기도 했습니다. 

 

2년제 대학

현재 2년제 대학들은 학생 모집이 원활히 되지 않지만 정부의 지원을 받아 운영 중에 있습니다. 재단의 비리가 없는 곳들이 폐교의 위험이 없고 기업이 운영 중인 학교들은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학교가 지속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내대학과 차이

대기업에서 운영 중인 대학과 사내 대학의 차이점은 캠퍼스에서 운영 중인 학교와 회사로 교수진이 출강을 하는 학교와 구분 됩니다. 사내대학은 회사에 입사한 분들을 대상으로 한 학위 과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글. 2년재 대학의 종류와 차이

 

2년제 대학, 전공대학, 기능대학, 사내대학, 폴리텍 대학 차이

우리가 흔히 아는 2년제 전문대학, 그리고 예술대와 같은 전공대학, 삼성이나 대우조선의 대학인 사내대학 그리고 기능대학인 폴레텍 대학 등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공통점주요 대학과 달

charismaculture.tistory.com

 

 

 

 

 

 

 

 

반응형